(1) 토광묘 상황 1) 1호 묘 구릉의 정상부에 독립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유구는 표토의 20㎝밑에서 확인되었다. 유구의 평면형태는 장방형으로 보강토는 북서장벽 쪽으로 넓게 나타나고 있으며, 남서 단벽의 목관 보강토에서는 철기조각 1점이 박혀 있다. 보강물의 범위로 본 목곽의 크기는 250×72×16㎝이다. 유물은 북동 단벽에서 도질의 직구호 1점, 유구의 남동장벽 중앙에 관 위에 부장한 것으로 추정되는 회청색 와질의 원저호 2점과 경질 단경호 1점 그리고 철기조각이 남서단벽의 모서리에서 노출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320×130×30㎝이다. 2) 2호 묘 2호 묘는 유일하게 구릉의 북쪽 사면에서 확인되었다. 유구는 남단 벽의 일부만 남아있고 나머지는 유실되었다. 유물은 남단 벽에서 적갈색 완 1점과 그 위에 얹혀진 회청색 경질호 1점이 있다. 유구의 크기는 (80)×90×10㎝이다. 3) 3호 묘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한 3호 묘는 말각 장방형의 묘광으로 유물은 동단 벽에 회청색 경질원저대(灰靑色硬質圓低壺) 2점, 적갈색 연질본(赤褐色軟質鉢) 1점, 유리구슬 1점이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380×65×10㎝이다. 4) 4호 묘 3호 묘 남쪽에 위치하는 장방형의 유구인데 묘광은 경사면에 위치한 관계로 모두 유실되고 바닥면 일부만 남아있다. 유물은 양단 벽에서 토기가 각 1점씩 노출되었는데 북동단벽에서 적갈색 평저 완 1점, 남서 단벽에서 회청색의 원저호가 1점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280×80×10㎝이다. 5) 5호 묘 구릉의 정상부에서 남쪽 사면으로 치우쳐서 위치하고 있는 5호 묘는 구지표를 'ㄴ'자형으로 굴착하였으나 남장 벽은 확인되지 않는다. 유물은 묘광 중앙에서 철겸 1점, 서단 벽에서 적색연질본편(赤色軟質鉢片)이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280×80×30㎝이다. 6) 6호 묘 3호 묘의 남서쪽에 위치한 6호 묘의 출토유물은 북동단벽에서 적갈색 완 1점, 남서단벽에서 회청색 단경호 2점, 유구의 중앙에서 철기 조각이 출토하였다. 유구의 크기는 330×100×30㎝이다. 7) 7호 묘 6호 묘의 남쪽에 위치하며 유구의 남서단벽 일부만 남아 있고 모두 유실되었다. 유물은 묘광의 바닥에서 20㎝ 정도 뜬 위치에서 회청색 경질의 원저호가 출토되었고 유구의 크기는 170×(80)×30㎝이다.
8) 8호 묘 8호 묘는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한 장방형의 유구로 주변의 지형은 파괴되었다. 유물은 남단벽에서 회청색 경질의 원저호 2점이 출토되었으며 유구의 크기는 210×100×45㎝이다. 9) 9호 묘 구릉의 정상부에 위치한 9호 묘는 표토층을 제거하면서 도질 단경호가 노출되었고 유구는 방형이며 크기는 170×?×55㎝이다. 10) 10호 묘 구릉 정상부의 길게 형성된 평탄면에 위치한다 묘광은 석비례층 암반을 'ㄴ'자형으로 파서 축조하였다. 유물은 양단벽에 부장하였는데 북동 단벽에는 흑색평저완(黑色平底 ) 1점, 회청색경질원저대(灰靑色硬質圓低壺) 2점이 확인되고 남서단벽 쪽에는 회청색와질원저대(灰靑色瓦質圓低壺) 2점, 유구의 중앙부에는 남동장벽 쪽에서 철촉 2점, 도자, 낫, 철기조각이 각 1점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420×110×10㎝이다. 11) 11호 묘 구릉의 남쪽사면에 위치한 11호 묘는 장방형의 유구이다. 유물은 남단벽에서 도질원저호 1점과 적갈색 연질 장란형호가 1점 노출되었으며 유구의 크기는 240×100×30㎝이다. 12) 12호 묘 12호 묘는 구릉의 남쪽 사면에 11호와 중복되어 위치한다. 유물은 남단벽에 도질단경호가 2점 노출되었고 북단벽에 평저발이 1점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390×90×30㎝이다. 13) 13호 묘 13호 묘는 구릉의 정상부의 평탄면에 위치한다. 장방형의 묘광에 내부에서 크기 200×50㎝인 목관의 흔적이 확인되고 있으며 유물은 목관선 바깥의 북동단벽에 회청색 경질호, 회청색 와질호 각 1점이 부장되었고 유구 내부의 중앙에서 낫 1점이 노출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290×90×15㎝이다. 14) 14호 묘 구릉의 산등성 상에 위치한 14호 묘는 방형의 구조를 갖고 있다. 유물은 원저대(圓低壺) 4점, 발(鉢) 1점이 노출되었고 유구의 크기는 190×95×30㎝이다. 15) 15호 묘 15호 묘는 구릉의 정상부에 'ㄴ'자형으로 묘광을 만들었는데 북동단벽의 일부와 남동장벽은 유실되었다. 유물은 남서단벽에서 적갈색 연질완, 회청색 경질호, 적갈색 연질호, 흑색 와질호가 각 1점씩, 그리고 유구 중앙에서 화살촉, 도자, 철기조각이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(250)×130×20㎝이다. 16) 16호 묘 14호 묘의 남서쪽에 위치한 16호 묘는 장방형의 유구로 내부에는 별다른 시설물은 확인되지 않았으나 북동단벽에서 회청색 경질대 2점, 적갈색 발 1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340×95×70㎝이다. 17) 17호 묘 구릉의 남동쪽 사면에 위치하는데 석비례층 암반을 'ㄴ'자형으로 굴착하여 묘광을 축조하였으며, 17호 묘의 출토유물은 없다. 유구의 크기는 200×(50)×30㎝이다. 18) 18호 묘 구릉의 남동쪽 사면에서 암반을 'ㄴ'꼴로 묘광을 파고 적갈색장난형(赤褐色長卵形)의 항아리를 눕혀서 관으로 사용한 옹관묘(甕棺墓)이다. 구연부는 남서쪽이며 묘광의 크기는 80×50×20㎝이다. 19) 19호 묘 19호 묘는 구릉의 남쪽 사면에 'ㄴ'字形으로 굴착하여 무덤을 조성하였다. 유물은 동단벽에서 적갈색발(赤褐色鉢) 1점, 남서단벽에서 회청색 경질호, 적색 연질완편이 출토되었다. 유구의 크기는 520×120×60㎝이다. |